IT & 기술

놀이처럼 배우는 AI! 이야기 기반 수업 설계 가이드

myview0700 2025. 3. 24. 15:00

AI를 처음 배우는 초등학생에게 가장 효과적인 수업 방식은 바로 **“이야기와 놀이 중심의 접근”**입니다. 딱딱한 개념 설명보다, 재미있는 스토리와 역할놀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개념을 익히게 하는 것이 핵심입니다. 이번 글에서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**이야기 기반 AI 수업을 설계하는 방법****실제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활동 예시**를 소개합니다.

1. 이야기로 시작하는 수업

AI를 설명할 때 “AI는 데이터를 보고 배우는 기술이야”라고 말하면 이해하기 어렵습니다. 그럴 땐 “옛날 옛적에, 기계가 사람처럼 생각하고 싶어졌어요…” 같은 이야기로 수업을 시작해보세요.

아이들은 이야기 속 주인공이 되어 AI와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, 잃어버린 AI 로봇을 찾는 모험을 상상하며 AI의 기능을 하나하나 자연스럽게 받아들입니다.

2. AI 동화 만들기 수업 예시

예: ‘코딩이를 찾아서’라는 이야기를 구성해보세요. 주인공 소년이 잃어버린 AI 친구 '코딩이'를 찾아가며, 음성 인식, 이미지 분류, 길찾기, 추천 시스템 등 다양한 AI 기술을 경험하는 이야기입니다.

학생들은 각 AI 기술이 등장하는 장면마다 '왜 필요한지', '어떻게 작동하는지'를 이야기 속에서 질문하고 생각하게 됩니다.

3. 놀이형 활동으로 연결하기

  • 감정 인식 게임: 친구 얼굴 표정을 보고 AI처럼 감정을 추측하기
  • AI vs 사람 퀴즈: 누가 더 잘 맞힐까? AI와 사람의 대결
  • AI 흉내 내기: 조건을 입력받고 반응하는 AI 역할놀이
  • AI 이름 짓기: 내가 만든 AI 캐릭터에게 이름과 성격 부여

놀이형 활동은 아이들이 AI의 원리를 체험하고, 학습과 연결되는 감각을 익히는 데 매우 효과적입니다.

4. 수업 흐름 예시 (총 2차시)

1차시: AI와 친구 되기

  • AI란 무엇인지 이야기로 소개
  • 우리 주변의 AI 찾기 (스마트폰, 유튜브 등)
  • Quick, Draw! 체험 활동 + 소감 나누기

2차시: 내가 만든 AI 이야기

  • Teachable Machine으로 AI 모델 만들기
  • AI에게 이름 붙이기 + 나만의 이야기 만들기
  • “내 AI 친구와의 하루” 발표 활동

5. 수업 효과와 교사용 팁

  • 복잡한 용어보다 이미지와 이야기로 접근
  • 학생들이 스스로 AI를 정의해보는 활동 유도
  • 매 수업 마무리에 "오늘 알게 된 AI 한 가지" 말해보기
  • 이야기 자료는 직접 만들어도 좋고, 학생과 함께 창작해도 재미있음

결론

AI는 이제 미래 기술이 아니라, **아이들과 함께 자라나는 생활 기술**입니다. 이야기와 놀이를 중심에 둔 수업 설계는 아이들이 AI를 즐겁고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게 해주는 가장 강력한 도구입니다. 지금 바로 한 편의 AI 동화를 준비해보세요. 수업이 아이들의 상상력과 창의력을 자극하는 멋진 시간이 될 거예요!